문제
테트리스를 해본 사람이라면 작대기 모양 테트리미노가 나오길 간절히 기다렸던 적이 있을 것이다. 지금 윤성이가 그러하다. 기다리고 기다리던 작대기 모양 테트리미노가 드디어 나온 것이다.
테트리스 맵은 가로로 C칸, 세로로 R칸의 C×R격자형 모양이다. 예를 들어보자. 아래 그림은 가로가 6칸, 세로가 6칸인 테트리스 맵의 상태이다.

(검정색 칸은 이미 메워져있던 칸이고, 회색칸은 이번에 메울 작대기 모양 테트리미노를 의미한다.)
이때 가로가 1칸이고 세로가 4칸인 1×4 직사가형 작대기 모양의 테트리미노(테트리미노는 항상 1×4)를 왼쪽에서 5번째 칸에 둘 경우 총 세줄의 수평선을 메울 수 있다. 테트리스는 한번에 여러 수평선을 메울수록 큰 점수를 얻는 게임이므로, 위 경우에서는 이 방법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.
윤성이를 도와 작대기 모양 테트리미노를 어디에 두었을 때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지 알려주자. (윤성이는 작대기 모양 테트리미노가 나왔을때 게임오버를 당할지언정 가로가 더 길도록 눕혀서 두지 않는다는 나름의 테트리스 철학이 있다.)
그리고 테트리스는 무조건 일자로 떨어진다. (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공간을 비집고 들어가는 등의 스킬은 윤성이에겐 존재하지않는다.)
입력
첫 줄에는 격자 크기를 나타내는 정수 C와 R이 하나의 공백을 사이에 두고 차례대로 주어진다. 두 값의 범위는 5 ≤ C, R ≤ 20이다. 그다음 줄 부터 총 R줄에 걸쳐 맵의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들이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 0은 아직 채워지지 않은 칸을 나타내며 1은 채워져있는 칸을 나타낸다.
출력
작대기를 왼쪽에서 X번째 자리에 두었을 때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고 그 때 완전히 메워지는 수평선의 개수가 Y개라면, Y를 최대로 만드는 X와 그 때의 Y를 하나의 공백을 사이에 두고 출력해야 한다.
만약 어떤 자리에 두어도 수평선을 하나도 메울 수 없거나 게임오버가 일어나는 경우라면 X와 Y를 둘다 0으로 출력한다.(게임오버는 새로 내려온 작대기가 맵상을 벗어난 경우에 일어난다. 새로나온 작대기가 맵의 가장자리에 걸쳐있는 경우는 게임오버가 아니다.)
예제 입력
6 7
0 0 0 0 0 0
0 0 0 0 0 0
1 1 1 0 0 1
1 1 1 0 0 1
1 1 1 0 1 1
1 1 1 0 1 1
1 1 1 0 1 1
예제 출력
4 3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|
c, r = map(int, input().split())
arr = [[0]*c for _ in range(r)]
possible = []
possible_copy = []
score = 0
score_case = []
max_score = 0
for i in range(r):
arr[i]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for j in range(c):
cnt = 0
for i in range(r):
if arr[i][j] == 1:
possible.append([i-1, j])
possible_copy.append([i-1, j])
cnt += 1
break
if i == r-1 and cnt == 0:
possible.append([r-1, j])
possible_copy.append([r-1, j])
for i in range(len(possible)):
if possible[i][0] - 3 < 0:
possible_copy.remove(possible[i])
for i in range(len(possible_copy)):
y, x = possible_copy[i]
score = 0
for j in range(y, y-4, -1):
arr[j][x] = 1
for k in range(len(arr)):
if 0 not in arr[k]:
score += 1
for l in range(y, y-4, -1):
arr[l][x] = 0
score_case.append([score, y, x])
for i in range(len(score_case)):
if score_case[i][0] > max_score:
max_score = score_case[i][0]
if len(score_case) == 0 or max_score == 0:
print(0, 0)
else:
for i in range(len(score_case)):
if score_case[i][0] == max_score:
print(score_case[i][2]+1, score_case[i][0])
break
|
cs |
'알고리즘 테스트 > 완전 탐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eat (2) | 2021.07.25 |
---|---|
baseball game (0) | 2021.07.25 |
bingo (0) | 2021.07.25 |
attack range (0) | 2021.07.25 |
rook (0) | 2021.07.25 |